이더리움(Ethereum)은 2015년 7월 30일 비탈릭 부테린(Vitalik Buterin)이 창안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자, 이 플랫폼의 자체 통화 이름입니다. 비트코인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암호화폐로 알려져 있지만, 두 시스템 간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합니다.
이더리움의 특징과 비트코인과의 차이점
비트코인이 주로 결제나 거래 관련 시스템, 즉 화폐로서의 기능에 집중하는 반면,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거래나 결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플랫폼을 지향합니다. 이를 통해 스마트 계약(Smart Contract)과 분산 애플리케이션(DApp)의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.
이더리움의 주요 특징
1.
스마트 계약(Smart Contract):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 기능을 통해 사전에 정의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. 이를 통해 계약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며,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
2.
분산 애플리케이션(DApp): 개발자들은 이더리움 플랫폼을 활용하여 중앙 서버 없이 블록체인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DApp은 투명성과 보안성을 높이며,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습니다.
3.
이더(Ether, ETH):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기본 통화인 이더는 트랜잭션 수수료(가스비) 지불, 스마트 계약 실행, 스테이킹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
이더리움 업그레이드 역사:
•
2024년 3월 13일: 덴쿤(Denkuhn) 업그레이드
◦
레이어 2 트랜잭션 비용 삭감,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효율성 향상, 검증자 보안 강화
◦
EIP-4844
•
2023년 4월 12일: 상하이(Shanghai) 업그레이드
◦
검증인이 리워드를 현금화할 수 있게 됨. 주요 EIP:
◦
EIP-3651: 웜 코인베이스.
◦
EIP-3855: PUSH0 명령.
◦
EIP-3860: 한도 및 계량 초기화 코드.
◦
EIP-4895: 비콘체인 푸시 인출을 작업으로 처리.
◦
EIP-6049: SELFDESTRUCT 사용 중단.
•
2022년 9월 15일: 파리(Paris), 더 머지(The Merge)
◦
실행 레이어인 Eth1과 합의 레이어인 Eth2(비콘체인)의 병합으로 **이더리움의 채굴 방식이 PoW에서 PoS**로 전환.
•
2022년 6월 30일: 그레이 글래시어(Gray Glacier)
◦
EIP-5133(Core): 여섯 번째 난이도 폭탄 지연 업데이트.
•
2021년 12월 9일: 애로우 글래시어(Arrow Glacier)
◦
EIP-4345(Core): 다섯 번째 난이도 폭탄 지연 업데이트.
•
2021년 10월 27일: 알테어(Altair)
◦
이더리움 2.0으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 완료 및 롤업 중심의 로드맵으로 변경된 세레니티 단계의 청사진 공개.
•
2021년 8월 5일: 런던(London)
◦
수수료 정책 개선 작업으로 소각 시스템 도입.
•
2021년 4월 15일: 베를린(Berlin)
◦
DeFi 수요 급증으로 인한 가스 요금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4가지 EIP 도입
◦
EIP-2565(Core), EIP-2929(Core): 가스 요금 최적화 및 네트워크 보안 개선.
◦
EIP-2718(Core), EIP-2930(Core): 새로운 유형의 트랜잭션 형태 지원을 위한 확장 기능 추가.
•
2020년 12월 1일: 페이즈 0(Phase 0), 비콘체인(Beacon) 탄생
◦
이더리움 2.0 PoS 체인인 비콘체인 출시.
•
2020년 1월 2일: 뮤어 글래시어(Muir Glacier)
◦
EIP-2384(Core): 세 번째 난이도 폭탄 지연 업데이트.
•
2019년 12월 8일: 이스탄불(Istanbul)
◦
DDoS 공격에 대한 보안 강화, SNARK 및 STARK 기반 Layer-2 확장 솔루션의 성능 개선, Zcash와의 상호 운용성 추가.